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모바일마케팅37

1-2. 성공하는 스타트업 기업문화 (디스문화) 디스(Diss)의 정의 https://ko.wikipedia.org/wiki/%EB%94%94%EC%8A%A4_(%ED%9E%99%ED%95%A9) 언젠가 TV프로그램에서 힙합 가수들끼리 선, 후배 상관없이 상대방 면전에서 비난과 비판하는 장면을 보았다. 어떤 이는 이런 장면을 보고 카타르시스를 느꼈을 것이고, (그러니, 프로그램이 인기 있었을 테고?) 어떤 이는 세상 참 많이 변했다며 ‘신문화’ 현상에 불편하였을 것이다. 가설: 디스(Diss)를 스타트업 기업문화에 도입하면? 상대방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디스의 수위는 다양하다고 하는데, 수평적, 열린 문화를 지향하는 스타트업에서 건전한 토론문화를 만드는데 효과적일까? 내 첫 직장에서도 당시 팀장(부장)이 부하직원 실수에 결재판을 보란 듯이 내던지던 때를.. 2023. 5. 24.
4-2. 플러스친구 런칭을 통해 배운 점 BM도 브랜드화를 해야 한다. 플러스 친구를 통해서 무료 메신저에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했지만, 다른 한편 돈만 벌기 위한 플랫폼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광고형과 콘텐츠형, 공익형 모두를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하여 광고라는 이미지를 상쇄하였다. 런칭 초기에 개발, 마케팅, 기획 리소스를 집중하여 완성도 높은 플랫폼으로 만들었다. 100% 안정적 구동을 위해 버그 수정을 하면서 런칭 일정을 3번이나 연기했다. 그리고, 회사 내부에서 기획, 영업, 디자인, 개발자 모두 한방에 모여서 테스트->수정->재테스트를 했던 추억? 이 있다. 스마트폰 작은 화면의 메신저 앱에서 무슨 그런 다양한 유저 시나리오가 있는지 놀라면서, 모든 멤버들이 함께 테스트하면서 서비스에 대해서도 배우고 익혔다. 한편, .. 2023. 4. 8.
4-1. 새로운 플랫폼에서 비즈니스 모델 기획 세계 최초 모바일 메신저 앱에 최적화된 마케팅 플랫폼 기획, 런칭 회고 2011년 스마트폰 배너광고 평균CTR 0.8%. 그중 실수로 클릭한 비율 70%. 배너광고에 대한 거부감 80%. 제대로 된 BM이 없던 초기 모바일 앱 생태계에서 기존 띠 형태의 배너광고와는 다른 BM을 기획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2011년 당시 국내외 어디에도 벤치마크 할 것은 없었다. 누구도 해보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모바일 BM을 만들어야만 했다. 고민의 결과, 내 친구목록에 함께 존재하는(지금 용어로는 네이티브 광고) 광고형+콘텐츠형 “플러스친구”를 런칭했다. 프로젝트 목표는 회사의 유의미한 매출을 만들어 무료 메신저에서도 사용자만 많으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으나, 전 국민이 사랑하는 카카오톡이 플.. 2023. 4. 8.
첫 1000명의 고객 만들기 어떤 사업이든 첫 번째 고객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이다. 스타트업도 예외는 아니다. 글로벌 창업 생태계에는 초기 고객을 유치한 사례들만 모아 놓은 블로그가 있다. 스타트업 창업자나 마케터들은 이메일 주소를 구독해 주기적으로 정보를 받으면 도움이 된다. 이미 잘 알려진 에어비앤비, 우버에서부터 생소한 북미 지역 서비스들이 처음 1000명의 고객을 어떻게 모았는지와 창업 스토리를 잘 정리하였다. https://read.first1000.co/ 우리나라 스타트업 사례들도 있다. 국내에서도 당근마켓 창업자가 쓴 '초기 유저 1000명 만들기'라는 제목의 글이 있다. 당근마켓이 B2C 일반유저를 대상으로 했다면, B2B사례로 첫 고객과의 계약과 첫 번째 유료화 사례를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도 있.. 2023. 2. 6.